실리콘밸리에서 가장 비싼 'AI 인재 전쟁'이 시작됐다!!
메타버스 실패한 주커버그, 이번엔 AI에 150억 달러?
한때 ‘메타버스’에 460억 달러를 투자했던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하지만 결과는 ‘아무도 안 찾는 VR 세상’으로 끝나버렸죠. 실패의 쓴맛을 본 그는 이제 더 큰 판에 도전합니다. 바로 ‘초지능 AI’예요.
이번엔 150억 달러를 들여서 새로운 AI 연구소 ‘슈퍼인텔리전스 랩스’를 만들었어요.
이게 뭐냐면, 사람처럼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AI 친구’를 만들겠다는 프로젝트예요.
지금 우리가 쓰는 AI보다 훨씬 똑똑하고, 진짜 뇌처럼 스스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AI 인간’을 만들려는 거죠.
근데 왜 이렇게 큰돈을 쓰냐고요? 이유는 간단해요.
AI 업계의 경쟁이 정말 치열해서, 실력 있는 사람을 데려오려면 돈도 어마어마하게 들어가기 때문이에요.
‘슈퍼인텔리전스 랩스’란? 메타의 AI 야심을 보여주는 상징
슈퍼인텔리전스 랩스는 그냥 연구소가 아니에요.
마크 저커버그가 직접 참여하고, 회사 안에서도 따로 독립된 공간에서 운영되는 아주 특별한 조직이에요.
여기서 만들려는 AI는 우리가 흔히 쓰는 ‘챗GPT’처럼 단순한 대화형 AI가 아니라, 개인을 위한 맞춤형 AI 동반자예요.
아이언맨의 ‘자비스’처럼 우리 삶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AI 말이죠.
예를 들어, 내가 무슨 고민을 하는지 미리 파악하고 조언해주는 AI, 친구처럼 나를 이해하고 대화해주는 AI를 말하는 거예요.
이 AI를 만들기 위해 메타는 기존 팀을 싹 개편하고, 다른 회사에서 잘나가는 인재를 모조리 스카우트하고 있어요.
이름부터가 슈퍼인텔리전스인 걸 보면, 메타가 얼마나 진지한지 알 수 있죠.
AI 인재에게 수천억? 실리콘밸리의 인재 전쟁
이번 메타의 AI 도전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돈’이에요.
AI 전문가 한 명 영입하는데 최대 1억 달러 이상, 우리 돈으로 1,300억 원이 넘는 보상을 제시했다고 해요.
이쯤 되면 웬만한 프로야구 FA 계약보다도 훨씬 큰 규모죠.
그런데 이게 과장이 아니라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이에요. AI는 미래 산업의 핵심이라서, OpenAI, 구글, 애플, 심지어 신생 스타트업까지도 서로 인재를 뺏고 빼앗기는 전쟁 중이에요.
저커버그는 이 시장을 “매우 뜨겁다”고 표현했어요. 실력 있는 연구원이 적은데, 전 세계가 달려드니 몸값이 치솟는 거예요.
그리고 메타는 단순히 돈만 주는 게 아니에요.
AI 연구자가 일하기 좋은 환경, 강력한 컴퓨터 자원까지 제공하며 ‘최고의 인재’를 모으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어요.
스케일 AI 인수와 알렉산드르 왕의 등장
저커버그의 인재 영입 전략의 결정판은 ‘스케일 AI’라는 회사에 대한 투자였어요.
이 회사는 미국에서 꽤 유명한 AI 스타트업인데, CEO인 알렉산드르 왕은 겨우 28살이에요.
천재로 유명한 친구인데, 메타는 이 회사를 무려 143억 달러에 지분 49%를 사들이며 사실상 공동 운영자가 됐어요.
왕은 이제 메타의 최고 AI 책임자(CIO)로 임명됐고, 직접 슈퍼인텔리전스 랩스를 이끌고 있어요.
재미있는 건, 이 AI 팀은 기존 메타 조직과도 떨어져 따로 일하는데, 이건 메타가 AI를 얼마나 독립적으로 키우고 싶은지 보여주는 부분이에요. 왕은 기존 개발자 외에도 깃허브의 전 CEO까지 데려와 팀을 꾸리고 있어요.
메타, 오픈소스를 버리다? 개발 방식의 전환
그동안 메타는 AI 기술을 공개해서 전 세계 개발자들이 쓸 수 있게 하는 ‘오픈소스’ 정책을 유지했어요.
그런데 이번엔 그걸 바꾸려 하고 있어요.
가장 강력한 AI 모델 ‘베히모스’의 출시를 연기하고, 이제는 폐쇄형 AI로 방향을 트는 걸 고민하고 있대요.
이유는 뭘까요? 경쟁이 너무 치열해졌고, 오픈소스로 기술을 풀면 다른 회사들이 그대로 가져다 쓰기 때문이에요.
결국 AI도 ‘지식 싸움’이 되고 있는 거예요. 그래서 메타는 “우리만의 무기를 만들자”는 방향으로 전환 중이에요. 이건 AI 업계의 철학 자체가 바뀌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AI를 위한 초대형 인프라: 맨해튼보다 큰 데이터센터?
AI를 만들고 돌리는 데는 어마어마한 컴퓨터가 필요해요. 그래서 메타는 지금 ‘기가와트급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어요. 얼마나 크냐면, 어떤 부지는 맨해튼 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래요.
이 정도면 웬만한 나라 전력 수준이고, 전기도 엄청나게 먹겠죠. 이런 엄청난 투자를 할 수 있는 건 메타가 돈이 많기 때문이에요. 저커버그는 “우리는 현금 흐름만으로 이걸 다 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했어요.
메타가 그리는 AI의 미래: '개인 AI'의 시대
마지막으로, 메타가 만들고 싶은 AI는 단순히 ‘일을 대신해주는 AI’가 아니에요. 저커버그는 “우리 삶에서 중요한 것들, 예를 들면 사람 간의 관계, 창의성, 문화 같은 걸 도와주는 AI”를 만들고 싶어 해요.
이건 다른 AI 기업들과는 확실히 달라요. 다른 회사들은 생산성과 효율성 중심이라면, 메타는 ‘삶의 질’에 집중한 거죠.
그래서 메타는 AR 글래스도 함께 개발하고 있어요. AI가 우리 눈앞에 떠다니며 삶을 도와주는 세상, 이게 메타가 꿈꾸는 미래예요.